맥북에서 우분투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이 가이드는 우분투 설치부터 활용까지 단계별로 쉽게 설명합니다. 우분투를 설치하면 개발 환경을 만들거나 서버를 설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맥북은 기본적으로 macOS를 사용하지만, 개발이나 특정 작업을 위해 우분투 같은 리눅스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요. 우분투는 오픈 소스 운영체제라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개발 도구와 서버 환경을 제공합니다. 우분투를 맥북에 설치하면 개발자나 IT 전문가에게 더 많은 도구와 자유를 줄 수 있어요.
우분투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자료와 도움을 쉽게 찾을 수 있어요. 또한, 네트워크 관리, 웹 서버 운영, 소프트웨어 개발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맥북에 우분투를 설치하면 개발과 작업에 필요한 환경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를 설치하려면 몇 가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USB 드라이브, 우분투 설치 파일, 부팅 디스크 제작 도구가 필요해요. 아래 표에서 필요한 준비물을 확인하세요.
준비물 | 설명 |
---|---|
USB 드라이브 | 최소 8GB 이상의 용량 필요 |
우분투 ISO 파일 | 우분투 공식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
부팅 디스크 제작 도구 | macOS에서는 ‘Balena Etcher’ 사용 |
우분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부팅 가능한 USB를 만들어야 해요. 아래 단계를 따라 부팅 USB를 만들어 보세요.
부팅 USB를 만들고 나면 이제 본격적으로 우분투를 맥북에 설치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이제 부팅 USB를 사용해 맥북에 우분투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주의사항: 설치하기 전에 macOS 데이터를 백업해 두는 것이 좋아요. 설치 중에 부트로더를 잘못 설정하면 부팅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해요. 중요한 데이터는 외장 하드나 클라우드에 백업해 두세요.
우분투 설치 후 맥북을 부팅할 때마다 ‘Option’ 키를 눌러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어요. 하지만 ‘rEFInd’ 같은 부팅 관리자를 설치하면 더 편하게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rEFInd’를 사용하면 macOS와 우분투를 손쉽게 전환할 수 있어요.
우분투를 맥북에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상머신을 사용할 수 있어요. 가상머신은 운영체제를 물리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특히 M1, M2 칩을 사용하는 맥북에서는 ‘UTM’이라는 가상머신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어요.
가상머신을 사용하면 macOS와 우분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해요. 하드웨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 실험을 할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우분투 서버 버전을 설치한 후 데스크탑 환경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어요. 데스크탑 환경을 설치하면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어 더 편리하게 우분투를 쓸 수 있습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tasksel
sudo tasksel install ubuntu-desktop
sudo reboot
이 과정을 거치면 우분투의 데스크탑 환경을 사용할 수 있어요. 그래픽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사용할 수 있어서, 터미널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요.
Visual Studio Code(VSCode)는 우분투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인기 있는 코드 편집기입니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고, 확장 기능을 통해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어요.
.deb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세요. 다운로드한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software-properties-common apt-transport-https wget
wget -q https://packages.microsoft.com/keys/microsoft.asc -O- | sudo apt-key add -
sudo add-apt-repository "deb [arch=amd64] https://packages.microsoft.com/repos/vscode stable main"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code
이렇게 터미널을 통해서도 VSCode를 설치할 수 있어요. 설치 후에는 code
명령어를 통해 쉽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맥북과 우분투 간에 원격 접속을 하려면 SSH를 설정해야 해요. SSH는 원격 서버에 접속해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openssh-server
sudo systemctl status ssh
sudo systemctl start ssh
bash ssh username@server-ip-address
scp
명령어로 파일 전송도 할 수 있습니다.SSH를 사용하면 로컬에서 우분투 서버의 작업을 제어할 수 있어, 서버 관리나 개발에 아주 유용합니다.
우분투에서 한글을 입력하려면 한글 입력기를 설치하고 설정해야 해요. 한글 입력기를 설치하면 한국어를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sudo apt install ibus ibus-hangul
Settings > Region & Language
에서 Input Sources에 Korean (Hangul)
을 추가하세요. 이렇게 하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집니다.Super + Space
키를 사용해 언어를 바꿀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macOS와 비슷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해요.한글 입력이 설정되면 한국어로 문서 작업을 하거나 웹을 사용할 때 매우 편리합니다.
우분투를 삭제하고 싶다면 아래 단계를 따라하세요. 설치된 우분투를 지우고 맥북의 저장 공간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부팅 관리자가 설치되어 있다면 ‘rEFInd’ 같은 프로그램도 함께 삭제해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부팅 시 여전히 부트로더 화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맥북에서 우분투를 설치하고 활용하면 다양한 개발 환경과 서버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우분투는 다양한 개발 도구를 지원하며,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서도 계속 발전하고 있는 운영체제입니다. 듀얼부팅, 가상머신, 원격 접속 등 여러 방법으로 우분투를 사용할 수 있으니, 자신의 필요에 맞는 방법을 선택해 사용해 보세요.
이 가이드가 맥북에서 우분투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추가로 궁금한 점이나 도움이 필요하다면 언제든 질문해 주세요. 😊
네, 맥북에 우분투를 설치하면서 듀얼부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치 과정에서 파티션 설정을 주의 깊게 진행하세요.
Balena Etcher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부팅 가능한 USB를 만들 수 있습니다. 공식 우분투 ISO 파일을 다운로드해 사용하세요.
한글 입력기를 설치한 후 입력 소스를 ‘Korean (Hangul)’로 추가하세요. 키보드 단축키 설정으로 한영 전환도 가능합니다.
우분투를 삭제하려면 macOS 디스크 유틸리티를 사용해 파티션을 삭제하고, macOS 파티션과 병합해야 합니다. 데이터 백업을 권장합니다.
VSCode 공식 웹사이트에서 `.deb`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거나 터미널에서 설치 명령어를 실행하면 됩니다.
혹시 나만의 웹사이트를 만들어볼까 생각 중이신가요? 요즘은 개인 브랜딩이든, 사업 홍보든 온라인 공간에서의 존재감이 정말…
Ansys 다운로드를 고민하시는 분들은 보통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에 관심이 많거나, 학교 과제 혹은 연구 프로젝트를 위해…
요즘 여러 분야에서 파이썬을 배우려는 분들이 정말 많아졌습니다. 과거에는 프로그래밍 전공자만 주로 사용한다고 생각했지만, 최근에는…